한국의 코스피와 코스닥 미국의 다우존스, S&P500, 나스닥 비교

 한국의 코스피와 코스닥, 그리고 미국의 다우지수, S&P500, 나스닥의 경우는 두 나라의 주식시장을 대표하는 지수들로 각각의 특징이 존재합니다. 오늘은 가볍게 어떤 특징들이 있는지 살펴보려 합니다.


주요 특징

- 코스피(KOSPI, 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

    1. 구성 : 한국거래소(KRX)에 상장된 모든 보통주를 포함하며, 약 800여 개의 기업

    2. 특징 : 전통적인 제조업 중심의 대기업들이 많으며,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SK하이닉스 등이 주요 구성

    3. 산업 구성 : 주로 제조업 중심의 기업들이 많다.

    4. 지수 산출 방식 : 시가총액 가중방식.


- 코스닥(KOSDAQ, Korea Securities Dealers Automated Quotations)

    1. 구성 : 코스닥에는 약 1,700개 이상의 기업이 상장. 

    2. 특징 : 기술 중심의 기업들이 많다.

    3. 산업 구성 :  IT, 바이오, 게임, 콘텐츠 등 혁신적이고 성장 잠재력이 큰 산업 분야의 기업들이 주로 상장

    4. 지수 산출 방식 : 시가총액 가중 방식을 사용하여 산출되며, 이는 각 기업의 시가총액에 비례하여 지수에 반영된다는 의미입니다.


-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Dow Jones Industrial Average, DJIA)

    1. 구성 : 미국의 대기업 30개 종목으로 구성

    2. 특징 : 주가의 산술 평균을 기반으로 산출되며, 미국 경제의 전반적인 동향을 보여주는 지표로 활용

    3. 산업 구성 : 주요 30개 대기업의 주가를 단순히 더한 후, 특정한 ‘조정 인수’로 나누어 계산합니다. 이 조정 인수는 지수의 연속성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며, 기업의 주식 분할이나 변경이 있을 때 조정


- S&P500(Standard & Poor's 500 Index)

    1. 구성 : 미국 주식시장에서 시가총액이 크고 유동성이 높은 500개 대형주

    2. 특징 : 기술주, 소비재, 금융 등 다양한 산업 분야의 대기업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구글(알파벳) 등이 주요 구성

    3. 산업 구성 : 다양한 산업 분야의 대기업들이 포함

    4. 지수 산출 방식 : 시가총액 가중 방식


- 나스닥(NASDAQ Composite)

    1. 구성 : 나스닥 시장에 상장된 약 3,000개 이상의 종목으로 구성

    2. 특징 : 기술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어, 기술주 동향을 파악하는데 유용

    3. 지수 산출 방식 : 나스닥에 상장된 모든 주식의 시가총액을 합산한 후, 이를 기준 시점의 시가총액으로 나누어 지수를 계산



nenen

가족과 더 잘 살고싶은 더 행복하게 오래오래 살고싶은 소망을 가진 사람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