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대리모, 왜 찬성하고, 왜 반대하며 그 쟁점은? |
1. 글로벌 규제 스펙트럼 한눈에 보기
2. 최근(2024-25) 주요 변화 & 이슈
이탈리아: 2024년 10월 해외에서 대리모 계약만 해도 최대 징역 2년·벌금 100만 €까지 부과하는 초국가적 금지법 통과. 비판은 “LGBTQ 가족‧불임 부부 차별”
EU: ‘유럽 부모증서’ 초안(2022)-2025 협상 진행 → 국경을 넘는 대리모 자녀의 법적 부모관계 자동 인정 추진
조지아 vs 우크라이나:
조지아 – 정부 우려에도 2024년 기준 외국인 상업 대리모 계속 허용
우크라이나 – 전쟁 속에서도 세계 시장 25 % 차지, 안전·출국 절차 복잡
인도: 상업 금지 유지 + 2024 가이드라인으로 기증 난자·정자 허용 확대, 미혼·이혼 여성도 대상 포함
호주: 2024.12 ALRC가 전국 통합법 검토 착수, ACT는 2024.7 이타적 대리모 절차 간소화
멕시코: 2021 연방대법 “국적·성 orientation 불문 접근권” 판결 이후 2025년 외국인 프로그램 재가동 움직임 있지만 주(州)-법원 승인 필요
종교‧윤리 논쟁: 2024.1 교황 프란치스코 “대리모는 여성·아동 존엄 침해, 전면 금지 필요” 발언 → 보수·일부 페미니스트 동시 지지, 반면 생식권 옹호 진영 “여성 자기결정권” 반박
3. 주요 논쟁 포인트
여성 착취 vs 경제적 기회 – 저소득 여성의 ‘임신 노동’ 상업화 우려 ↔ 일부 당사자는 “합당한 보수·생계수단” 주장.
아동의 법적 지위 – 출생국·귀국국 법정 부모 인정을 두고 ‘국적 공백’ 발생 사례(예: EU가 해결 시도).
LGBTQ·비혼자 접근성 – 상업 허용국(미국 일부 주, 조지아 등)은 포용적, 금지국은 차별 논란.
국경 간 ‘생식 관광’ – 금지국 국민이 허용국으로 이동 → 새로운 형사 처벌(이탈리아)·등록 거부(프랑스 과거) 등 대응.
배아·생명윤리 – 일부 국가(알라바마州 등)는 수정배아를 ‘아동’으로 간주, IVF·대리모 계약 전체가 정치화
4. 대한민국 현황 & 전망
법적 진공 상태: 생명윤리법상 ‘수정란 매매’는 금지지만 대리모 자체는 명시 규정 부재. 의료계는 사실상 ‘불법’으로 보고 있어 국내 시술은 극히 드묾.
사회적 논의 확대: 난임 증가·다양한 가족형태 요구로 “허용하되 안전장치 필요” 여론과 “상업화‧인권 침해” 반대여론이 대립.
입법 과제:
계약·보수 범위 명확화, 2) 출생신고‧국적 절차, 3) 중개기관·의료기관 감독, 4) 아동·대리모 인권 보호.
5. 대리모를 택하는 대표적인 동기
6 . 대리모 vs 입양 비교
7. 왜 입양이 어려워졌나? (구조적 변화)
출생국 보호주의 강화 – 중국·러시아·에티오피아 등 과거 주요 송출국이 국제입양 중단 또는 대폭 축소.
아동권리협약·헤이그 협약 규범 – ‘자국 내 영구가정 우선’ 원칙이 국제 기준이 되면서 해외 송출이 까다로워짐.
스캔들·불법 알선 대응 – 과거 서류 위조·인신매매 논란 이후 송출국·수입국 모두 엄격한 가정조사·모니터링 도입.
사회통념 변화 – 미혼모 지원, 국내 위탁·입양 촉진 정책이 늘며 국제입양 풀 자체가 감소.
8. 결국, 선택은 ‘가치·상황·제도’의 합
즉, 사람이 대리모를 선택한다는 것은 단순한 ‘혈연 집착’만이 아니라, ① 쉽지 않은 입양 절차, ② 임신·출생 초기부터 자녀를 돌보고 싶다는 욕구, ③ 법적·의료적 확실성, ④ 문화·가족적 전통 등이 함께 작용한 결과입니다.
반대로 생명윤리·여성권리 관점에서 상업 대리모를 비판하거나, 입양·위탁을 우선시해야 한다는 의견도 여전히 강합니다(예: 교황 프란치스코의 전면금지 주장).
9. 정리
세계는 ‘허용-규제-금지’ 세 갈래로 빠르게 재편 중이며, 2024~25년에는 이탈리아형 형사화와 EU형 부모자격 통일이 동시에 진행.
- 규제 모델은 문화·종교·젠더 관점과 난임 치료 수요가 교차하며 변동성이 크므로, 한국도 국제 동향과 자국 가치 관점의 균형이 필요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