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GBI 편입 연기의 이유와 그로인한 손해는? |
WGBI란 무엇인가?
WGBI(World Government Bond Index)는 세계 주요 국가의 국채를 모아 만든 지수로, 영국의 FTSE 러셀이 관리합니다. 이 지수는 미국, 일본, 독일, 영국 등 선진국의 국채를 포함하며, 각국의 국채 성과를 평가하는 벤치마크로 활용됩니다.
주요 특징으로는 편입 기준이 국채 발행 규모 500억 달러 이상이면서, 신용등급은 S&P 기준 A- 이상, 외국인 투자자들의 접근성이 높아야 하며, 지수 구성이 주로 1년 이상의 잔존 만기를 가진 장기 국채로 구성되며, 각 국가의 국채 시가총액 비중에 따라 지수에 반영됩니다.
연기된 주요 이유
첫 번째 이유로는 일본 투자자들의 요청입니다. WGBI 주총 자금의 약 20~30%를 차지하는 일본 기관투자가들이 투자 전략 조정과 내부 시스템 정비를 위해 추가 준비 기간을 요청하였습니다.
두 번째 이유로는 정치적 불확실성에 대한 우려라고 합니다. 일부에서는 한국의 정치적 상황, 현재 대통령 탄핵 등의 이슈가 외국인 투자자들의 불안을 야기하여 일정 연기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연기의 영향
1. 외국인 자금 유입 지연
- WGBI 편입으로 예상되었던 약 560억 달러(약 82조 원)의 외국인 자금 유입이 내년으로 미뤄지게 되었습니다.
2. 국채 금리 하락 및 환율 안정 효과 지연
- 외국인 자금 유입으로 기대되었던 국채 금리 하락과 원화 환율 안정 효과도 함께 지연될 것으로 보입니다.
3. 정부의 재정 운용 부담 증가
- 올해 197조 6000억 원의 국채 발행을 계획하고 있으며, 추가경정예산 편성도 고려중입니다. WGBI 편입 연기로 인해 외국인 수요가 줄어들면 국채 금리가 상승하고, 이에 따라 정부의 자금 조달 비용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편입은 언제쯤?
연기되었지만 편입자체는 확정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다만 편입 완료 시점이 2026년 11월로 예정되어 있으며, 편입 비중은 2.05%로, 기존 예상치인 2.22%보다 소폭 낮아졌습니다.
기대 효과
1. 외국인 자금 유입
- WBGI 편입으로 인해 82조 원 가량의 해외 자금이 한국 시장에 유입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2. 국채 금리 안정
- 외국인 투자자들의 유입은 국채 시장의 유동성을 높이고, 국채 가격 변동성을 줄여 시장을 안정시키는 데 기여합니다.
3. 환율 안정
- 외국인 투자자들의 자본 유입은 원화 가치를 지지하여 환율 안정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4. 국가 신용도 상승
- WGBI 편입은 국가의 신용도가 높아졌다는 것을 보여주는 지표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